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주제분류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

정의

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릴 때 사용하는 도구.

개설

일반적으로 짐승의 털을 추려 모아 원추형으로 만들어 죽관(竹管) 또는 목축(木軸)에 고정시킨 것이다. 문방사우(文房四友)의 하나이다.

연원 및 변천

붓의 기원에 대해서는 서기전 3세기에 진(秦)나라의 몽염(蒙恬)이 처음으로 만들었다고 전해 오고 있으나 문헌상으로는 설(說)이 구구하다. 『사기(史記)』의 「몽염열전(蒙恬列傳)」에는 붓의 발명에 관해서는 언급되지 않고, 다만 서기전 221년 진나라의 천하 통일 후 내사(內史)에 임명되었다는 기록이 있을 뿐이다.

몽염의 발명설에 대해 송대(宋代)의 소이간(蘇易簡)은 『문방사보(文房四寶)』에서 “진(秦)이 천하를 통일하고 나서 자기들의 치세(治世) 동안의 업적을 과시하기 위하여 이러한 발명설을 주장한 것 같다.”고 비판하였다. 우형(牛亨)도 “모필(毛筆)은 서사(書寫)가 시작될 때부터 존재했던 것이 틀림없다.”고 하여 몽염이 붓의 발명자라고 하는 것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였다.

또 근대의 학자들은 “몽염은 붓의 발명자가 아니라 개량자일 것이다.”라고 주장하고 있다. 그 이유는 『사기』에 몽염이 내사라는 직책을 맡았다는 구절이 있는데, 내사는 국가의 법전을 관장하며 조서(詔書) 및 궁중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을 기록하는 사관(史官)을 말한다. 즉 공문서의 기초나 서사 · 복제 따위의 일을 맡은 직책이었다. 그러므로 몽염이 맡은 일을 위해 서사 용구(書寫用具)를 개량하였을 것으로 본 것이다.

몽염의 붓 발명설은 3세기 진(晉)나라의 학자 장화(張華)가 저술한 『박물지(博物志)』에 “몽염조필(蒙恬造筆)”이라는 기록이 있다는 데서 연원된 것 같다. 그러나 이 내용은 구양순(歐陽詢)의 『예문유취(藝文類聚)』와 백거이(白居易) · 공전(孔傳) 공편의 『백공육첩(白孔六帖)』, 그리고 『태평어람(太平御覽)』에 인용되어 있을 뿐 현존하는 『박물지』에는 수록되어 있지 않다.

이와 같이 몽염에 의한 붓의 발명설은 증거가 불충분할 뿐만 아니라 문헌이나 출토품을 통해 그 이전 은 · 주시대(殷周時代)부터 붓이 사용되었음이 증명되고 있다. 그 예로 은 · 주시대 청동기의 문자는 붓으로 쓴 각적(刻跡)으로 보고 있다. 그리고 은대(殷代)의 복사(卜辭) 갑골 문자(甲骨文字)도 뼈의 표면에 먼저 붓으로 쓴 다음 새긴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. 처음에는 나뭇가지나 댓가지에 먹을 묻혀 필사하였으나, 그것이 불편하여 뒤에 부드러운 짐승 털로 바꾼 것이다.

특징

붓의 형태는 축(軸) · 수(穗) · 초(鞘)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. 축은 죽관(竹管)이 많으나 목봉(木棒)이 사용되기도 한다. 수의 재료로는 양, 여우, 토끼, 호랑이, 사슴, 산돼지, 살쾡이, 이리, 담비, 개, 말 등의 털이 사용되었다. 이들 털을 추려 모아서 그 끝을 마사(麻絲)로 감아 칠로 굳힌 다음 축의 선단(先端)에 붙여 만들었다.

붓은 모양과 용도에 따라 장봉(長峰) · 중봉(中峰) · 초필(抄筆), 그리고 심을 박은 것과 박지 않은 것 등으로 나누어진다.

붓은 털의 품질이 가장 중요하다. 털이 뻣뻣하고 뾰족한 것, 털이 많으며 가지런한 것, 털 윗부분이 끈으로 잘 묶여서 둥근 것, 오래 써도 털에 힘이 있는 것이 기본 조건이다. 재료는 산토끼 털이 좋은데, 그것도 높고 험준한 산 속에 사는 토끼의 털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한다.

우리나라 붓은 족제비 털로 만든 낭미필(狼尾筆)이 좋다고 중국의 문헌에 소개되어 있다. 중국인들은 이 붓으로 백추지(白硾紙)에 쓴 것을 특이한 외국의 산물로 꼽았다. 이 낭미필은 황모필(黃狼毫筆) 또는 황서필(黃鼠筆)이라고도 한다. 중국의 문헌에서 서랑모필(鼠狼毛筆) 또는 성성모필(猩猩毛筆)이라 하는 것도 바로 이 붓을 뜻한다.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붓은 일찍부터 중국에 수출되어 애용되었을 만큼 품질이 좋았음을 알 수 있다.

참고문헌

  • 『文房四寶』(蘇易簡 撰)
  • 『겨레과학기술 조사연구(IX) -붓과 벼루-』(국립중앙과학관, 2001)
  • 『中國古代書籍史:竹帛に書す』(錢存訓, 宇都木章, 法政大學出版局, 1981)

관련이미지 4

김정희 유품

김정희 유품

이미지 갤러리

출처: 한국민족문화대백과

1/4

위 이미지에 대한 권리는 출처사이트 게시자에게 있으며, 이를 무단 사용할 경우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.

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,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.
외부 저작권자가 제공한 콘텐츠는 네이버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.

위로가기